
과거 한국의 바닷가 마을에는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작은 포구와, 그곳을 중심으로 열리던 장터가 있었다. 이 장터는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이 만나 정보를 교환하고, 외지 상인들과 교류하며 문화가 오가는 중요한 중심지였다. 그러나 근대화와 교통 발달로 인해 수많은 포구 장터는 사라지고, 오늘날에는 흔적조차 찾아보기 힘든 경우가 많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장터의 흔적이 지명 속에 남아 지금도 우리 곁에 살아 숨 쉬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라진 장터의 흔적을 지명으로 추적해보면, 과거 사람들의 생활상과 지역 교역 구조를 더욱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다.포구 장터의 역사적 역할포구 장터는 조선시대부터 근대 초반까지 지역 경제의 핵심 공간이었다. 어획물, 곡물, 소금, 생필품 등이 교환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