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 포구와 자연재해의 상관관계조선시대의 포구는 단순히 물류와 사람의 이동만 담당한 공간이 아니었다. 포구는 바다, 강, 호수 등 수로를 끼고 있는 입지적 특성상, 자연재해에 가장 먼저 노출되는 취약 지대였다. 특히 해일, 홍수, 폭우, 강풍, 혹한과 같은 자연현상은 포구의 일상적인 기능을 마비시키고,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주곤 했다. 포구는 대체로 저지대에 위치하여 홍수에 취약했고, 바닷가에 위치한 경우에는 풍랑과 해일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이에 따라 포구 주변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은 기후와 자연현상의 변화에 항상 긴장하며 살아야 했다.기록에 따르면, 태풍이 발생한 뒤 해안가 포구에 위치한 선창이 침수되거나, 포구로 들어오는 물자가 끊겨 장터가 중단되는 사례도 많았다. 조선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