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시장 – 서울 도심과 한강 포구의 연결고리
서울 마포. 지금은 수많은 음식점과 재래시장이 몰려 있는 활기찬 도시의 한 구역이지만,
조선 후기 이곳은 단순한 동네가 아니라 전국 물자가 최종적으로 도착하는 물류의 관문이었다.
세곡(稅穀)을 실은 조운선은 한강을 따라 올라와 마포나루에 정박했고,
배에서 내린 곡식과 생필품은 장터로 흘러 들어갔다.
이 장터가 바로 오늘날 '마포시장'의 전신이다.
마포시장은 단순히 한강 포구 옆의 작은 시장이 아니었다.
조운제도의 중심, 서울 도심과 지방을 잇는 경제허브, 근대화 전환기 도시 상권의 출발점이었다.
마포의 지리적 특성과 포구의 기능
조선 후기 한양은 육상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세곡과 지방 물자는 대부분 수로를 통해 마포나루까지 운반되었다.
마포는 지리적으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강의 수심이 깊고 배 정박이 쉬움
북쪽은 도성(서대문), 남쪽은 강남으로 연결
양화진(양화대교 일대)과 함께 수운 종착지로 기능
이러한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마포는 조운선과 민간 선박이 모두 도착하는 한강 최대의 포구가 되었고,
자연스럽게 그 주변에 시장과 창고, 숙소, 객주, 여각(여인숙)이 형성되었다.
조운선과 마포 시장의 초기 기능
조선의 조운제도는 지방에서 거둬들인 세곡을 수도로 운반하는 국가 시스템이었다.
세곡선은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각지에서 출발해 한강을 타고 올라와
최종적으로 마포나루에 도착했다.
이곳에서는 다음과 같은 흐름이 발생했다:
세곡 하역 → 창고 보관 → 한성 정부에 인도
민간 상인도 뒤따라 도착 → 물자 유통 장터 형성
상설 시장과 함께 5일장 개장 → 마포 장터 탄생
즉, 마포시장은 조운제도의 말단이자,
서울의 생필품과 식량이 공급되는 도시 소비 시스템의 전진기지였다.
시장에서 거래되던 주요 품목들
마포시장은 서울 한복판이라는 점에서 특이한 품목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지방의 시장은 ‘생산자 중심’이었다면,
마포는 도시 소비자 중심의 장터로 기능했다.
지방에서 올라온 물자
곡물: 쌀, 보리, 조, 콩
젓갈: 새우젓, 멸치젓
건어물: 말린 생선, 다시마
목재: 남부지방의 땔감, 목재 자재
도시 생활 중심 물자
생필품: 부엌용품, 숯, 기름
포목류: 비단, 면포, 삼베
장류: 된장, 간장, 고추장
약재: 인삼, 감초, 황기
이외에도 조선 후기에는 중국 청나라에서 들여온 차와 식기류 등이
마포 포구를 통해 유통되기도 했다.
장터의 모습과 사람들 – 서울 경제의 민낯
마포시장은 조운선과 함께 서울로 들어온 사람들의 삶이 뒤섞인 곳이었다.
지방 상인, 장돌뱅이, 객주, 장사꾼, 포주, 주모, 노점상, 아이들까지
도성 바깥 가장 역동적인 공간이 마포장(마포시장)이었다.
시장 풍경의 특징
- 새벽부터 열리는 노점
- 짐꾼들이 나르는 쌀가마
- 말 한 필에 실은 멸치 자루
- 뱃사공들이 막걸리를 마시는 여관 마당
- 여자들이 젓갈을 맛보며 가격 흥정
마포시장은 단순한 물건 거래의 공간이 아니라,
도시 노동자 계층과 지방 유통인이 만나는 교차점이었다.
여기서 흘러나온 정보, 소문, 정치 이야기는 도시의 ‘뒷골목 담론’을 형성했다.
근대화와 함께 변화한 마포 시장의 구조
1899년, 서울~인천 간 철도(경인선)가 개통되며
마포의 수로 기능은 점차 약화되기 시작했다.
수운 | 조운제 폐지(1894) → 조운선 운항 중단 |
물류 | 철도/도로 기반 물류 체계로 전환 |
시장 | 마포시장 기능 일부 축소 → 육상 교통 중심지로 재편 |
상권 | 기존 전통시장 + 신식 상점가 등장 |
그러나 마포 시장은 사라지지 않았다.
오히려 도로 기반 도시 시장으로 탈바꿈하며 생존했고,
서울 서부권 최대의 재래시장 중 하나로 성장하게 된다.
현대의 마포 시장 – 과거의 흔적이 이어진 골목
현재 마포구에는 ‘마포농수산물시장’, ‘망원시장’, ‘마포전통시장’ 등이 남아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조선 후기 마포장터의 맥을 잇고 있다.
특히 마포대로와 양화진 일대, 성산로변의 시장은
과거 조운선이 닿던 선창 자리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옛 창고 지형, 도로 구조, 골목 이름에서 당시 흔적을 일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포 지역에는 다음과 같은 역사 공간이 남아 있다: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원
옛 마포 세곡 창고 터(지도 상 유적)
한강 나루터 복원 체험 공간 (서울시 프로젝트 일부 포함)
마포 시장은 조선 경제의 끝과 서울 경제의 시작이 만나는 지점이었다
마포 시장은 단순한 시장이 아니라,
조선의 국가 조운 시스템과 서울 도심 경제가 맞닿은 접점이었다.
여기서 물건이 교환되고, 사람과 정보가 흐르며,
서울은 ‘수도’로서 실질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근대화 이후 철도와 도로가 수로를 대체하면서
마포의 전통적인 포구 기능은 사라졌지만,
시장만은 형태를 달리하며 현재까지 살아남았다.
오늘날 마포 시장의 활기찬 거리와 분주한 상점들은
지금도 그 옛날 뱃길로부터 이어진 생명의 흔적을 품고 있다.
'포구와 장터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선착장 - 포구의 직업 지도 (1) | 2025.07.13 |
---|---|
포구와 장터 기록 - 여성 상인 (0) | 2025.07.12 |
군산장 - 수로에서 무역항 (1) | 2025.07.09 |
영산포장 - 어류 젓갈 중심의 남도 장터 (1) | 2025.07.09 |
삼례장 - 전라도 곡물 유통의 심장 (1)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