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글 목록
반응형

2025/07/09 3

군산장 - 수로에서 무역항

조선 후기 금강 하구의 포구가 세계로 열린 항구가 되기까지전라북도 군산, 지금은 산업과 항만도시로 알려진 이곳도 한때는 포구 옆 작은 장터로부터 시작되었다. 조선 후기, 금강 하구의 완만한 수로를 따라 형성된 군산포(群山浦)는 곡물과 생필품이 오가는 수운의 중간 기착지였다. 당시 이 지역은 금강 상류의 강경·삼례 등에서 실려 내려온 물자가 모이던 포인트였고, 해양과 내륙이 만나는 결절점으로 기능했다. 군산장은 이 포구를 기반으로 발달한 장터였으며, 단순한 전통시장이 아닌, 근대 무역항으로 진화하는 과도기적 공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조선 후기 군산포의 기능과 장터의 출발군산포는 금강 하구 서쪽에 형성된 천연 포구로, 조선 중기부터 그 지형적 이점을 바탕으로 조운선 및 민간 운송선의 정박지 역..

영산포장 - 어류 젓갈 중심의 남도 장터

어류·젓갈 중심의 남도 장터, 강과 바다가 만난 생명의 시장전라남도 나주, 영산강이 유유히 흐르는 그곳에 조선 후기 활기를 띠던 장터가 있었다. 이름하여 ‘영산포장(榮山浦場)’. 이곳은 영산강 수운을 따라 흐른 수많은 물자와 사람, 그리고 남도의 풍부한 어류와 젓갈이 모여 형성한 남도 최대 어시장 중 하나였다. 조선 후기에는 단순한 어물 시장이 아닌, 내륙과 해안의 연결점이자 지역 경제를 움직이던 중심지였으며, 어부, 상인, 객주, 주모, 뱃사공이 얽혀 형성한 복합적인 장터 문화가 존재했다. 이 글에서는 영산포장이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었고, 무엇이 거래되었으며, 어떤 풍경이 장터를 가득 메웠는지를 복원한다.영산포의 위치와 장터 형성 배경영산포는 영산강 중하류에 위치한 수운 중심 포구였다.나주, 함평, 목..

삼례장 - 전라도 곡물 유통의 심장

삼례장 – 조선 후기 곡물 장터의 중심지전라도의 중심 평야지대, 그곳에 '삼례장(三禮場)'이라는 이름의 거대한 장터가 있었다. 조선 후기, 삼례는 단순한 농촌 마을이 아니라, 전라도 곡물이 집결되는 수로+육로 결절지이자, 삼남지방 물류의 요충지였다. 삼례포구를 따라 뱃길로 연결된 한강과 마포 창고, 그리고 장날마다 몰려든 상인과 농민들. 이 모든 것이 삼례장이라는 공간에 응축되어 있었다. 지금은 조용한 읍내로 남아 있지만, 삼례장은 한때 조선 경제를 실제로 움직이던 '곡물 장터의 심장'이었다. 이 글에서는 삼례장의 지리적 위치, 유통 구조, 거래 품목, 장터 풍경 등을 통해 그 역사적 의미를 되짚어본다.삼례장의 위치와 형성 배경삼례장은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에 위치했으며, 전주 평야의 풍부한 곡물 생산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