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도는 서해와 맞닿아 있으며, 예로부터 조운(漕運)의 중심지였다. 조운은 조선시대 세곡(稅穀, 세금으로 거둔 곡식)을 배로 운송하는 제도였는데, 이를 위해 서해 연안에는 수많은 포구가 발달했다. 이러한 포구는 단순한 세곡 집산지일 뿐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장터가 함께 형성된 공간이었다. 바닷길을 따라 물자가 들어오고, 내륙 농산물이 흘러나가면서 교역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그러나 근대 이후 철도와 도로가 발달하면서 조운의 기능은 사라졌고, 포구 장터 역시 급속히 쇠퇴했다. 지금은 물리적 흔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지명 속에는 여전히 과거의 흔적이 남아 있다. ‘장항(場項)’, ‘장고도(場古島)’, ‘장터골’ 같은 이름은 충청도 사람들의 생활과 교역 문화를 보여주는 귀중한 기록이다.
보령 오천 장항리 – 조운과 장터가 만난 공간
보령시 오천면에는 ‘장항리’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장항’은 곧 장터가 있던 포구라는 뜻이다. 이곳은 조운선이 드나들며 세곡을 실어 나르던 거점이었다. 세곡을 실으러 온 배와 상인들이 모이면서 자연스럽게 장터가 형성되었고, 주민들은 생필품을 구입하거나 교환할 수 있었다. 장항 장터는 단순히 지역 시장이 아니라, 국가 제도인 조운과 연결된 특별한 장터였다. 지금은 항구와 장터의 기능은 사라졌지만, ‘장항리’라는 지명이 당시의 역사를 증명하고 있다.
서산 팔봉 장터골 – 곡물과 어패류가 모이던 마을
서산 팔봉면 일대에는 ‘장터골’이라는 마을 이름이 남아 있다. 이곳은 내륙 농민들이 곡물을 가져와 어민들과 교환하던 장소였다. 장터골은 바닷길과 내륙길이 만나는 지점에 있었기에, 거래 품목도 다양했다. 곡식, 콩, 조 같은 곡물과 어패류, 소금이 함께 거래되었다. 현재는 장터가 사라졌지만, ‘장터골’이라는 지명이 과거 교역의 중심지였음을 말해준다.
태안 근흥 장고도 – 섬에 남은 장터의 흔적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에는 ‘장고도’라는 섬이 있다. 이름 그대로 ‘옛 장터가 있던 섬’이라는 뜻이다. 섬 주민들은 자급자족이 어려웠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포구에 모여 물자를 교환했다. 주로 생선과 해산물을 내놓고, 외부 상인으로부터 곡물과 생활용품을 구입했다. 섬의 특성상 장터가 곧 생존의 수단이었으며, 주민들의 공동체적 결속을 강화하는 공간이었다. 오늘날 섬은 관광지로 변했지만, ‘장고도’라는 이름은 과거 장터의 생활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홍성 광천 장터와 수운의 결합
홍성 광천은 과거 내포 지역의 교통 중심지였다. 광천천을 따라 포구가 발달했고, 인근에는 장터가 열렸다. 특히 소금과 젓갈이 유명했는데, 광천 장터에서는 내륙 농산물과 바닷가 소금, 젓갈이 활발히 교환되었다. 장날이면 인근 지역 주민뿐 아니라 외지 상인들까지 모여 성황을 이루었다. 현재는 시장만 남아 있지만, ‘광천장’이라는 이름은 과거 포구와 장터가 결합된 전통을 보여준다.
아산 곡교천 장터와 내륙 연결
충청남도 아산시에는 곡교천이 흐른다. 이곳은 내륙 수운을 따라 포구가 발달했고, 그 주변에 장터가 형성되었다. 곡교천 장터는 농산물과 소금, 생필품이 활발히 거래된 중심지였다. 장날이면 강을 따라 배가 정박해 물품을 내리고, 사람들은 이를 교환했다. 지금은 장터의 물리적 흔적은 없지만, ‘곡교’라는 지명은 과거 포구와 장터의 번성을 상징한다.
충청도의 포구 장터 특징
충청도의 포구 장터는 다른 지역과 비교해 몇 가지 특징이 있다.
- 조운과 연결: 보령 장항리처럼 국가의 세곡 운송 체계와 직접 연결된 경우가 많았다.
- 소금·젓갈 중심 교역: 태안, 서산, 홍성 등 서해안은 소금과 젓갈의 산지로 유명했고, 이를 교환하는 장터가 활발했다.
- 섬 장터의 독자성: 장고도 같은 섬 지역 장터는 주민 생존과 직결되어, 다른 지역보다 더 공동체적 성격이 강했다.
충청도 주요 사라진 포구 장터 지명 정리
보령 오천 | 장항리 | 조운 포구 + 장터 | 세곡 운송과 지역 장터 결합 |
서산 팔봉 | 장터골 | 내륙+어촌 장터 | 곡물과 어패류 거래 중심 |
태안 근흥 | 장고도 | 섬마을 장터 | 섬 주민 교환 중심지, 생존형 장터 |
홍성 광천 | 광천장터 | 포구 + 장터 | 소금·젓갈과 곡물 교환의 중심지 |
아산 곡교 | 곡교천 장터 | 강변 포구 + 장터 | 내륙 수운을 통한 교역 중심 |
장터 지명에 담긴 생활사적 의미
충청도의 지명 속 장터 흔적은 단순한 행정명칭이 아니라, 과거 생활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장항’은 국가적 조운 체계와 연결된 장터였음을, ‘장고도’는 섬 주민의 생존을 위한 장터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장터골’, ‘광천장’, ‘곡교천 장터’ 같은 이름은 단순히 시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공동체가 형성되고 유지되는 핵심 공간이었음을 증명한다.
충청도의 사라진 포구 장터는 지금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지명 속에 여전히 남아 있다. 보령 장항리의 조운 장터, 서산 팔봉의 장터골, 태안 근흥의 장고도, 홍성 광천의 소금·젓갈 장터, 아산 곡교천 장터 등은 모두 지역 교역의 중심이었으며,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히 연관되었다. 특히 충청도의 장터는 국가적 제도인 조운과 연결되거나, 소금·젓갈 같은 특산물이 거래되는 독자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지명은 단순히 옛날 흔적이 아니라, 충청도 사람들의 삶과 공동체 기억을 담은 역사적 기록이다. 앞으로 충청도의 사라진 포구 장터를 연구하고 기록하는 일은 지역 정체성을 되살리고, 문화·관광 자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포구 장터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경기 - 사라진 포구 장터와 지명 속 흔적 (1) | 2025.08.23 |
---|---|
강원도 - 사라진 포구 장터와 지명 속 흔적 (1) | 2025.08.22 |
경상도 - 포구 장터 기록 (0) | 2025.08.20 |
전라도 사라진 포구 장터와 지명 속 흔적 (0) | 2025.08.19 |
사라진 포구 장터와 현재 남아 있는 지명 속 흔적 (1) | 2025.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