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도시 계획과 왕경 구조 비교
          발해의 도시 건설 배경과 입지 전략발해는 고구려의 유민과 말갈족이 중심이 되어 698년에 대조영이 건국한 국가로, 그 영토는 오늘날의 만주, 연해주, 한반도 북부까지 아우르는 광대한 지역에 걸쳐 있었다. 발해는 단순한 변방 세력이 아니라, 고도로 정비된 국가 체계를 갖춘 정치체로 성장했다. 그 중심에는 도시계획, 특히 왕경(王京)의 정비가 있었다. 발해는 수도를 단순히 정치의 중심지로 보지 않고, 천하 질서를 상징하는 공간으로 인식했다. 그렇기 때문에 수도의 입지 선정에는 정치적, 종교적, 군사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고려되었다.발해의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는 오늘날 중국 길림성 돈화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해 초기에는 동모산(東牟山)에 수도를 두었으나, 756년 이후 본격적으로 상경을 중심..
          
            2025. 8. 10.
          
        
       
    
    
  
        
    
        
    
      
        
          
            
              
            
          
          포구 - 자연재해
          조선시대 포구와 자연재해의 상관관계조선시대의 포구는 단순히 물류와 사람의 이동만 담당한 공간이 아니었다. 포구는 바다, 강, 호수 등 수로를 끼고 있는 입지적 특성상, 자연재해에 가장 먼저 노출되는 취약 지대였다. 특히 해일, 홍수, 폭우, 강풍, 혹한과 같은 자연현상은 포구의 일상적인 기능을 마비시키고,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주곤 했다. 포구는 대체로 저지대에 위치하여 홍수에 취약했고, 바닷가에 위치한 경우에는 풍랑과 해일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이에 따라 포구 주변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은 기후와 자연현상의 변화에 항상 긴장하며 살아야 했다.기록에 따르면, 태풍이 발생한 뒤 해안가 포구에 위치한 선창이 침수되거나, 포구로 들어오는 물자가 끊겨 장터가 중단되는 사례도 많았다. 조선 후..
          
            2025. 8. 9.